출처:
http://blog.naver.com/stealheart99/220681522256
내용입니다.
참고 하시면 좋은것 같아 퍼왔습니다.
작년 이맘때 인천 서구에 위치한 석남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계기가 있다면 골목대장님 수업을 듣는 중 이쪽을 관심있게 지켜보라는 말씀때문이었습니다.
또한 업무를 하면서 관련이 있던 곳이라 더욱 관심이 가게 되어서 그때부터 매주 석남동을 찾아갔었습니다.
처음에는 접할 기회가없는 지저분한 거주환경에 실망을 했지만 알아갈수록 너무 매력적이고 미래에 어떻게 변화할지 너무 궁금한 지역으로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그럼 조사한 내용을 풀어보게겠습니다.
1. 지역분석
2. 석남동 주요 사업
3. 석남동 재개발 현황
4. 용도구역별 입지분석
(공공사/공원/학교/상권)
위사진을 집중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2생활권,3생활권의
(석남1구역~6구역,거북이마을)
경인고속도로 의 변화
석남역7호선 개통
① 석남동은 경인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양 옆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바로 옆 공장밀집지역이 위치해 있어 공장근로자 및 서민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는 지역임
② 좌측으로는 청라국제도시가 위치해 있으며 위 쪽에 루원시티가 예정되어있어 굵직한 사업지에 인접해 있지만 교통이 불편하여 저렴한 주거환경을 원하는 사람들이 모여살고 있는 지역임
③ 상업지역 하단에는 2006년부터 지정된 석남 재개발1~6구역이 위치해있다. 현재 조합해산신청을 했지만 엄청난 매몰비용에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임
④ 석남동 상단과 하단에 각각 강남시장과 거북시장이 있으며 인근의 홈플러스보다 시장이 활성화 되어있어 각종 편의시설 및 먹거리상권이 근방에 활성화 되어있음
① 인천2호선 개통
213번으로 표기된 역이 석남고가1교 앞에 개통되는 2호선 석남역이다.
석남동은 오직 버스로만 이동이 가능했지만 2016년 인천2호선이 개통되면서 교통편의성이 개선됬다.
하지만 인천2호선은 서울접근성이 뛰어나지 않아 제한적임.
②서울지하철 7호선 석남역개통(2020년)
부평구청~인천2호선 석남역까지 약 4.2Km 연장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1공구는 현대건설이 시공자로선정되어 2018년 11월까지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원적산 터널 하부에 거대한 암반이 발견되어 공사진척이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2공구이다.
2공구의 시공자는 경남기업이어서 공사진행이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다.
모든 시운전까지 마무리 된 후 2020년 10월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남기업의 경영악화로 사업포기서를 서울시도시철도공사에 제출하였지만 얼마전 철회서를 제출하며 공사를 재개한 것이 그나마 다행으로 생각됩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16/0200000000AKR20151116149500065.HTML?a7d712c8
③ 7호선 석남~청라 연장운행 추진
※ 첨부1 인천시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 예비타당성조사 사업계획 변경(안) 확정
현재 논의되고 있는 석남~청라국제도시 연장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 (B/C 0.56)으로 경제성이 낮아 노선변경 후 경제성이 확보(B/C 1.07)된 경로로 변경추진 중이다.
변경노선의 경우 루원시티 및 시티타워 활성화, 신현동 일원 원도심 교통편의 증진 및 수요
극대화를 위해 노선을 석남동~봉수대로~경제로(청라국제도시)~청라국제도시역(L=10.6km)에서
석남동~염곡로(루원시티)~커낼웨이(시티타워)~청라국제도시역(L=10.6km)으로 변경했다.
정거장은 기존과 같게 6개소로 계획하고, 입지는 역세권, 선형 및 배선계획, 운전효율 등을
고려하여 배치했다.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1000037
(정거장 개략 입지) ① 독골사거리, ② 루원지하차도 남측, ③ 중봉교, ④ 시티타워, ⑤ 국제업무단지, ⑥ 청라국제도시역(공항철도 환승)
신현동 연합의원사거리라고 부르는 곳에 독골사거리역과 예전 미나리꽝과 중앙아파트인근에 루원 지하차도남측역을 만들 계획임. 지금의 가정지구 초입에 역사가 건설 될 예정임.
10여년 전 엄청난 투기광풍이 불었던 지역으로 현재 2~3번 경매절차를 거친 물건들이 나오고 있음.동그라미부분이 독골사거리역이 생길 예정지임
- 2012년 당초계획과 2015년 10월에 변경된 노선이다. 좀 더 중심지로 이동한 노선을 확인할 수 있음.
④ 7호선 석남~청담 급행열차 추진
현재 서울시도시철도공사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임.
아직 예산배정이 되지 않았으며 2016년 서울메트로와 서울시 도시철도공사와의 합병건으로 후순위로 밀린 상태임. 합병이후에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⑤ 경인고속도로 간선화 추진
- 인천시가 “가정동오거리 ~ 문학IC 구간 혼잡도로 개선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에 대해서 2015년7월18일 입찰공고를 한 상황이다.
- 혼잡도로 개선구간으로 지정되면 중앙정부로부터 비용중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어 인천시는 도화IC~문학IC까지의 구간을 지화하 하려고 한다.(경인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구간을 지하화연결)
- 두 IC가 연결시 경인고속도로의 이용이 훨씬 편리해질 것으로 예상됨
[출처] [서구]_석남동|작성자 IGO빡시다
★신월IC와 서인천 IC의 지하화는 이미 발표가 난 상황이다. 하지만 지하화 공사를 시작하면서 서인천IC~인천IC구간의 일반도로 사업도 함께 진행되면 ★석남동을 양분하게 만들었던 방음벽이 사라질 것이며 주거환경의 질이 크게 개선될 것이다.
- 경인고속도로 일반화를 2026년 까지추진하면서 대체되는 고속도로건설을 위해 청라까지 직선화 하며 제2외곽순환도로 (2018년 부분개통예정)까지 연결하여 교통편의성을 증대시킬 예정이다.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4/08/28/0304000000AKR20140828143900065.HTML
http://www.dailian.co.kr/news/view/534139/?sc=naver
-제2외곽순환도로의 청라구간을 조기개통하는 이유는 경인고속도로 간선화로인한 대체도로의 확보를 위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인고속도로는 인천항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물류동맥의 역할을 하고있기때문에 대체도로 없이 간선화는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 인천일보 기사를 보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가 빨라질수도 있습니다.
예상보다 빨라진다는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전 구간 '동시 착공' 전환]
3단계 공사계획 변경…
(2017년 06월 05일 00:05 월요일)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765865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가 '3단계 사업'에서 '동시 착공'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다. 인천시는 2026년까지 구간별로 공사한다던 계획을 접고 ★전 구간에서 동시에 착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는 경인고속도로 인천 기점부터 서인천 나들목(IC) 구간을 일반도로로 전환하기 위해 올해 안에 전 구간 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내년부터 동시 착공에 나설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동시 착공이 검토되는 일반화 사업은 도로 개량을 가리킨다. 인천 기점~서인천IC 10.45㎞ 구간 도로와 시설물 관리권은 올 하반기 한국도로공사에서 인천시로 넘어온다. 시는 주변 지역과 높이가 다른 이 구간 도로를 평탄화하고, 교차로를 만드는 개량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당초 일반화 사업은 3단계로 발표됐다. 4000억원으로 예상되는 재원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시는 지난 3월7일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기본구상안'을 공개하며 인천 기점부터 인하대 부근까지 1.8㎞ 구간을 시범사업으로 우선 착공하기로 했다. 2020년 말까지 1단계 사업이 끝나면 도화IC까진 2023년, 서인천IC까진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공사를 마친다는 계획이었다.
일반화 사업 기간이 최대 9년으로 알려지자 서구 지역에선 불만을 터뜨렸다. 바른정당 이학재(서구갑) 국회의원은 4월11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사 기간이 길어질수록 사업비가 늘어나고, 주민은 불편을 겪는다"며 '전 구간 동시 착공'을 주장했다.
시가 '동시 착공'으로 선회했지만 재원 조달과 교통 체증이라는 과제는 남아 있다.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사업에 국비를 지원받기 위한 특별법 제정과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추가 지정에 대해 정부는 모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상습 정체 구간인 도화IC~서인천IC까지 한꺼번에 착공되면 교통 혼잡이 빚어질 가능성도 크다.
시 관계자는 "최근 개통한 제2외곽순환도로가 교통량을 일정 부분 흡수하고, 우회를 유도하면 교통 체증을 줄일 수 있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입체도로' 정책이 본격화하면 국비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도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석남동은 1~6구역으로 이루어진 재개발구역이 있으며 전부 지지부진한 진행으로 사업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조합해산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① 석남1주택재개발
위치 : 석남동 529번지 일원, 면적 : 55,792.9m2 , 용도지역 : 제2종 일반주거지역
건폐율 : 획지1 : 21%이하, 획지2 : 27%이하, 용적률 240%이하
건축면적 : 8,565,56m2, 연면적 : 143,998,74m2
동수/층수/높이 : 13동/지하1층,지상21층/66m이하
※ 추진현황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지정고수 : 2009.10.26
추진위원회구성 : 2007.1.22
조합설립인가 : 2010.2.8
시공사선정 : 2010.7.24(금호건설)
조합설립인가 취소 : 2013.07.22
② 석남2주택재개발
위치 : 석남동 582번지 일원, 면적 : 51,447.2m2, 용도지역 : 제2,3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 15.44%이하, 용적률 : 획지1 197%, 획지2 : 250%이하
건축면적 : 4,908.25m2, 연면적 : 134,911.06m2
동수/층수/높이 : 11동/지하1층,지상38층/121m이하, 세대수 852세대
※ 추진현황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지정고수 : 2009.06.01
추진위원회구성 : 2007.03.30
조합설립인가 : 2009.08.21
시공사선정 : 2009.11.10(대우,벽산건설)
조합설립인가 취소 : 2013.12.09
③ 석남3주택재개발
위치 : 석남동 592번지 일원, 면적 : 20,439.5m2, 용도지역 : 제2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 23%이하, 용적률 : 228%이하
건축면적 : 3,910.25m2, 연면적 : 59,703.18m2
동수/층수/높이 : 6동/지하2층,지상22층/65m이하, 세대수 370세대
※ 추진현황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지정고수 : 2009.09.21
추진위원회구성 : 2006.12.14
조합설립인가 : 2009.11.17
시공사선정 : 2010.03.06(STX건설)
조합설립인가 취소 : 2013.12.02
④ 석남4주택재개발(http://cafe.naver.com/icsn4)
위치 : 석남동 546번지 일원, 면적 : 72,269m2, 용도지역 : 제2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 21%이하, 용적률 : 244%이하
건축면적 : 9,490m2, 연면적 : 166,436,90m2
동수/층수/높이 : 15동/지하2층,지상23층/60m이하, 세대수 1,086세대
※ 추진현황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지정고수 : 2009.06.15
추진위원회구성 : 2007.01.18
조합설립인가 : 2009.09.04
시공사선정 : 2010.11.28(대우,SK건설)
현재 유일하게 조합설립인가 취소가 되지않은 구역
⑤ 석남5주택재개발
위치 : 석남동 570번지 일원, 면적 : 58,652m2, 용도지역 : 제2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 17%이하, 용적률 : 240%이하
건축면적 : 7,480.00m2, 연면적 : 164.072.86m2
동수/층수/높이 : 16동/지하2층,지상21층/65m이하, 세대수 1,077세대
※ 추진현황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지정고수 : 2009.09.28
추진위원회구성 : 2007.03.06
조합설립인가 : 2009.11.09
시공사선정 : 2010.01.30(두산,동부건설)
조합설립인가 취소 : 2013.11.25
⑥ 석남6주택재개발
위치 : 석남동 578번지 일원, 면적 : 32,177.6m2, 용도지역 : 제2종일반주거지역
건폐율 : 20%이하, 용적률 : 240%이하
건축면적 : 5,770.88m2, 연면적 : 128.720.994m2
동수/층수/높이 : 18동/지하3층,지상22층/74m이하, 세대수 670세대
※ 추진현황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지정고수 : 2009.11.16
추진위원회구성 : 2007.03.13
조합설립인가 : 2010.03.05
시공사선정 : 2010.05.01(쌍용건설)
조합설립인가 취소 : 2014.06.25
※ 4구역을 제외한 5개구역은 현재 엄청난 매몰비용으로 조합해산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인천시의 재정악화로 비용보조도 불가능한 사항이다. 또한 단독 및 다가구의 대부분이 대지 40평형대를 이루고 있어 추후 독립적인 건축행위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① 빨간 박스도로가 석남동에서 메인상권 과 중심역세권 을 형성하고 있는 곳이다. 강남시장과 거북시장이 위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이 도로변에 서울까지 한번에 이동가능한 광역버스와 M버스가 다니고 있어 유동인구가 많음
② 상업지역에는 모텔촌과 유흥업소들이 모여있어 낮에는 유동인구가 적으나 밤에는 꽤 영업이 잘되고 있음
③ 표시의 버스정류장은 서울로 운행하는 버스는 없으며 원적산터널을 이용하여 부평구청역까지 이동하여 7호선을 이용하려는 주민들이 이용하고있다. 버스정류장이 있는 도로를 따라 먹자상권이 형성되어 있음
④ 경인고속도로를 기준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육교로만 이동가능하여 단절되어 있으며 분위기도 상반됨
⑤ 경인고속도로 좌측은 지대가 점점 높아지며 산이 있어 특화된 아파트단지나 단독주택부지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음
⑥A,B지역은 인천2호선, 서울7호선 석남역의 더블역세권이 되며 각각 서광장,동광장으로 조성예정되어 있음
⑦C,D지역은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향후 더블역세권이 될시 종 상향되어 개발될 가능성이 있음